|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CSS방법론
- TS
- React-Router-Dom
- CSS
- typescript
- 알고리즘
- 테오의 스프린트
- 캐나다개발자
- 타입스크립트
- 밴쿠버개발자
- framer
- Semantic Versioning
- 글또 10기
- 개발자를 위한 글쓰기 가이드
- JSBridge
- SemVer
- framer-motion
- 코드트리
- 캐나다취준
- ASP.NET
- react
- Effective Typescript
- JUNCTION2023
- 시스템디자인
- 회고
- 이펙티브타입스크립트
- 글또
- 해외취업
- Framer motion
- 개발자 원칙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7)
큰 꿈은 파편이 크다!!⚡️
연차가 이쯤되니 시스템 디자인 인터뷰도 준비해야해서 급히 공부를 하고 있다. 로드 밸런서.. 일할때는 의식해본 적도 없고 백엔드 영역이라고 생각해서 굳이 따로 해보려하지도 않았는데 보고있는 시.디 인터뷰 목록에 나와있길래 조금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역시 풀스택의 길은 멀고 험한가보다 ㅎ Load Balancer (LB)단어 그대로, Load(부하)를 Balance(조절)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디자인의 한 요소이다. ~몇천 RPS(Request Per Second, 초당 요청 수) 까지는 LB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꽤나 트래픽이 있는 제품이 아니고서야 타의적으로 경험해보기는 쉽지 않은 듯 하다. LB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위치하되, 한 레이어만 구성하..
ㅎㅎ9기가 끝나고 10기 시작 전에 글을 하나라도 쓰겠다 다짐했건만 놀랄 것도 없이 이루지 못했다.일단 9기 시작할때 쓴 다짐글을 보니 내가 엄청 희망찼다는 건 알겠다. 약 1년만에 달라진 점을 적어보자니 씁쓸하면서도 재미있다 ^_ㅠ 글또 글쓰기 다짐 (우선순위)우선순위답게,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어려운 미션이다.읽기 쉬운 글이 결국 잘 쓴 글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지만.. 여기에서의 잘 쓴 글은 글또 큐레이션 후보에 올릴만한 글로 구체화했다.글쓰기의 습관화읽기 쉬운 글 쓰기 (테크니컬 라이팅)잘 쓴 글 하나라도 발행해보기^^ (글또 큐레이션 후보) OT이후의 다짐 트래킹위 스크린샷은 글또 OT를 듣고 다짐한 나의 액션 아이템들이다. 지금까지의 현황에 대해 정리해보자면 이렇다.1) 클리어2) ..
글또와 유데미의 콜라보라는 좋은 기회를 통해 평소에 학습해야겠다는 생각은 했으나 공부는 안하고 있었던 R3F 강의를 듣게 되었다!이 자리를 빌어 다시한번 글또와 유데미를 샤라웃해본다.. 강의 선택 이유내가 선택한 강의는 React Three fiber(R3F)로 배우는 인터렉티브 3D 웹 개발항상 3d로 내 포트폴리오 웹사이트를 만들고싶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정작 하지 않아서.. 실행에 불을 붙이고자 선택했다.지금까지 3d 구현을 공부하려하다보면 괜히 수학적이라고 생각해서 그런지 내용이 복잡하기도 하고, 자료들만 봐서는 정보가 스스로 정리가 잘 되지 않아서 어려운 느낌이 컸기도 해서 누군가가 친절하게 정리해서 가르쳐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다. (아주 날로 먹으려는 생각뿐..) 강의 소개 평균..
알고리즘 면접 대비용으로 작성하는 시리즈! (Blind75를 따라감)목표:두가지 이상의 풀이방법을 구현하고 설명하기시간/공간 복잡도를 나타내기왜 이 풀이가 저 풀이보다 성능이 나은지 논리적으로 설명하기면접질문에 대답한다고 생각하고, 핵심을 설명하되 말을 너무 길게 하지 않기 (개인적으로는 세 문장이 적절하다고 생각)분명하고 적절한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하기질문:LeetCode 문제Given an integer array nums, return true if any value appears at least twice in the array, and return false if every element is distinct.Example 1:Input: nums = [1,2,3,1]Output: trueExa..
2024.05.04 Updated - apply 관련 팁 추가.. 를 비롯한 보강 내가 캐나다 밴쿠버에 도착하고, 약 3개월동안 습득한 취업 준비 지식을 나눠보려 한다.출처는 여러가지 밋업을 통한 다양한 사람들과의 네트워킹, 코트라 밴쿠버에서 주최한 멘토링, 내 3개월치의 경험 등이 있다. 사실 다른 사람의 팁들을 내가 이렇게 막 블로그에 올려도 되나 하는 고민이 있었는데.. 내가 얻어서 종합한 정보들은 내 식대로 정리하고, 멘토링을 통해 얻은 것들은 사실 모두가 공평하게 얻을 수도 있는 건데 내가 혜택을 누렸으니 다시 공유하는게 맞는것같고 멘토님도 공유를 좋아하셔서 이렇게 작성해 본다.크게 이렇게 나눠진다. 몇몇 단계는 내가 겪어보지 못했기에, 묻고 얻은 팁들을 공유하고 내가 생각하는 액션플랜을 곁들였..
알고리즘 면접 대비용으로 작성하는 시리즈! 목표:두가지 이상의 풀이방법을 구현하고 설명하기시간/공간 복잡도를 나타내기왜 이 풀이가 저 풀이보다 성능이 나은지 논리적으로 설명하기면접질문에 대답한다고 생각하고, 핵심을 설명하되 말을 너무 길게 하지 않기 (개인적으로는 세 문장이 적절하다고 생각)분명하고 적절한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하기 질문:LeetCode 문제Given an array of integers nums and an integer target, return indices of the two numbers such that they add up to target.You may assume that each input would have exactly one solution, and you may ..
알고리즘 면접 대비용으로 작성하는 시리즈! 문제와 설명은 알고엑스퍼트를 참고했다. 목표: 두가지 이상의 풀이방법을 구현하고 설명하기 시간/공간 복잡도를 나타내기 왜 이 풀이가 저 풀이보다 성능이 나은지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면접질문에 대답한다고 생각하고, 핵심을 설명하되 말을 너무 길게 하지 않기 (개인적으로는 세 문장이 적절하다고 생각) 분명하고 적절한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하기 질문: n번째 피보나치 수열을 구해보세요 예시1 Input: 2 Output: 1 예시2 Input: 6 Output: 5 Idea 피보나치 수열은 0, 1, 1, 2, 3, 5.. 와 같이, 처음 두 수는 0과 1에서 시작하며, n>2 인 n번째 수는 n-1번째 수 + n-2번째 수이다. Solution 1 재귀(Recursiv..
글또를 통해 사용해보게 된 코드트리 후기! 나는 엄청난 알고바보 이고 코딩테스트 등등을 "열심히" 공부해본 기억이 없고, 따라서 "잘" 해본 적도 없다. 경력이 쌓이면서 알고리즘 테스트의 난이도는 낮아진다고들 하지만 그래도 해외 취업시에는 알고리즘 풀이가 굉장히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 특히나 잘해본 적은 커녕 제대로 공부한 적도 없다보니 무려 10년동안 알고리즘에 대한 자신감이 아주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공부를 해야겠다는 스트레스까지 누적된 상태였다. (하지만 하지는 않음) 지난 기수 운영진이셨던 차보님을 통해 코드트리를 알게 되었지만 막상 사용해보려니 내가 써보고싶었던 학습 로드맵은 유료😂여서 계정만 만들었었다. 유료인 것이 납득이 가지 않는다기보다는 서비스를 잘 모르는 상태이기도 하고..
무려 2022년 3월에 참여한 프로젝트 후기를 지금 업로드한다.. ㅎㅎ (쓰다 만 초안이 있기도 했다) 오랜 시간이 지났고 5일이라는 짧은 기간동한 했던 프로젝트였지만 아직도 기억과 감동이 남아있을 만큼 영향력 있었던 프로젝트였기에 글을 남긴다!! (다만 그때 스크린샷 찍은 것들이 없다..ㅠㅠ;) — 계기 같이 영어공부를 하던 프론트엔드 개발자께서 추천해주셔서 알게 되었고, 바로 신청했다. 후기를 읽어보며 갖게 된 구체적인 계기는 이렇다. 내가 웹 프론트엔드로 프로젝트한 경험이 적다 짧은 기간(5일)이라 부담이 적다 구글 스프린트가 어떤 과정인지 궁금했다 스프린트를 하며.. 수/목/금요일은 팀원들과 아이스브레이킹 및 서비스를 기획하고, 토/일은 개발에 온전히 집중하는 5일간의 스프린트였다. 처음 설명을 ..
ASP.NET으로 서버&리액트 프로젝트 서빙하기.. 전에는? 지금까지 회사에서 CSR을 구현할 때 리액트 웹은 웹대로, ASP.NET 서버는 서버대로 따로 동작시키며 서비스를 제공했었다. 만약 같은 서버가 클라이언트+서버의 역할을 모두 할 때는 ASP.NET의 Razor page라는 문법을 사용해서 SSR 방식으로 웹페이지를 구현했고 나는 ASP.NET을 극혐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같은 서버에서 포트를 다르게 해서 웹 클라이언트, 서버를 각각 돌리되 웹 부분은 리액트로 구현하자는 이야기가 나왔다. 아무래도 리액트 구현 방식에 익숙해져있기도 하고 유저 인터랙션에 강하다보니 리액트의 생산성을 Razor(따위)가 따라올 수 없다는 느낌에서였다. 결과적으로 웹 쪽은 vscode로 작업한 뒤 빌드하면, 빌..